사람들에게 정말 익숙한 식물인 떡갈잎 고무나무는 개업 선물로 인기가 많습니다. 동네에 새로 생긴 카페나 음식점에 가면, 입구 옆에서 사장님보다 우리를 먼저 맞이해주죠. 떡갈잎 고무나무가 개업 선물로 인기가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키우기가 매우 쉽기 때문인데요. 선물을 받는 사람이 처음 식물을 키우더라도 쉽게 관리가 가능합니다. 그래도 자세하게 키우는 법을 알면 보다 건강하게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선물로 떡갈잎 고무나무를 받았지만, 어떻게 키우는지 잘 몰라서 들어오신 분도 계실 거예요. 이 글만 자세히 읽으셔도 건강하게 키우실 수 있을 겁니다.
떡갈잎 고무나무
- 학명 : Ficus lyrata (Fiddle leaf fig)
- 과명 : Moraceae (뽕나무과)
- 원산지 : 서아프리카 열대지방
- 설명 : 떡갈잎 고무나무는 잎맥부터 잎의 색상까지 매우 진하고 강인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열대 지방 출생이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따뜻한 온도와 습한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잎이 두꺼운 만큼 습도나 햇빛에도 강한 편입니다. 떡갈잎 고무나무는 병충해에도 강하며 까다롭지 않고 성장 속도가 빨라 키우는 재미가 있는 식물입니다. 잎에는 주름이 많고 신엽은 위로 계속 올라오는 형태로 생깁니다. 열대 식물이니, 추위와 과한 습도에만 주의를 해주시면 됩니다.
학명은 Ficus Iyrata이지만, Fiddle leaf fig라고 불립니다. 잎의 모양이 바이올린과 닮아 붙여진 이름입니다. 학명의 ficus는 옛 라틴어로 무화과나무라는 뜻을 가지고 Iyrata는 크기가 커다랗고 날개 모양으로 나뉜다는 뜻입니다. 서아프리카 열대지방에서는 10m 이상의 크기까지 자라는 식물입니다. 같은 고무나무의 종류로는 인도고무나무, 벤자민고무나무, 뱅갈고무나무 등이 있습니다.
고무나무는 공기정화에 매우 좋은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뽑은 에코 플랜트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래서, 집들이 선물이나 개업 선물로 인기가 많은게 아닐까요?? 아래 포스팅에서는 다른 공기정화 식물을 소개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3.02.04 - [식물가이드] - 실내 공기정화식물로 추천하는 4가지 식물
실내 공기정화식물로 추천하는 4가지 식물
0. 공기정화에 효과적인 식물들 에코 플랜트라고 들어보셨나요? NASA가 선정한 뽑은 나쁜 물질을 제거해주는 능력이 탁월한 공기정화식물을 말하는 단어입니다. 오늘은 이 에코 플랜트 중에서도
sikmulguide.com
건강하게 키우는 방법
햇빛은 간접광을 충분히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직사광선도 3~4시간 정도 받는 것은 괜찮습니다. 코팅된 창문이나 커튼을 통과한 햇빛은 간접광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햇빛을 부족하게 받을 경우에는 성장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광합성을 위해서 잎을 주기적으로 닦아주세요. 잎의 표면에서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합니다. 먼지가 많이 쌓여있을 경우에는 광합성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주기는 일주일에 1-2회 정도 주시면 됩니다. 물을 주는 주기보다 정확한 것은 화분의 흙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흙의 표면이 충분하게 말랐을 때 물을 주셔야 합니다. 손가락 1~2마디의 깊이로 마른 나무젓가락을 넣어보세요. 젓가락에 물기와 젖은 흙이 묻어나지 않는다면 물을 주셔도 됩니다. 물을 주실 때는 화분 아래로 물이 흘러나올 정도로 충분하게 주시면 됩니다.
온도는 16~24도 정도가 성장하기 가장 좋습니다. 환기가 잘되고 바람이 부는 곳에 두시는 것도 매우 좋으나, 겨울철에 찬 바람이 들어오는 곳에 두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겨울에는 최소 7도 이상의 온도에 두셔야 합니다. 겨울에는 실내 거실에 두시는 것이 가장 좋겠죠. 떡갈 고무나무는 열대 식물이지만, 습도에 강한 편입니다. 최소 30~65% 정도의 습도에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독성이 있어, 아이나 애완동물을 키우시는 분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든 고무나무 종류에는 독성이 조금 있습니다. 잎이나 줄기를 꺾었을 때, 흰색 유액이 나오게 되는데요. 이런 유액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습니다. 아이나 애완동물이 먹을 경우에는 속쓰림이나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가지치기할 경우에도 유액이 피부에 닿으면, 피부 발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꼭 장갑을 낀 상태에서 가지치기하시기 바랍니다.
Q) 식물이 성장하지 않아요. 새잎도 나지 않고 크지 않는 것 같아요.
A) 식물이 크지 않는 경우에는 몇 가지의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식물이 잘 자라는 온도가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식물도 동면에 들어간다고 생각하세요. 그럴 경우에는 식물의 물 사용도 적어져, 화분의 수분이 잘 마르지 않을 거에요. 또 햇빛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식물이 놓인 곳에 햇빛이 부족할 경우에는 식물 전용 조명을 사용해주세요. 마지막으로 흙의 양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오랜 시간 똑같은 화분에 식물을 키웠다면, 흙에 양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흙에도 유통기한이 있다고 생각하시고 새로운 흙으로 분갈이를 해주세요. 당장 분갈이가 어렵다면, 비료를 사용하여 양분을 보충해도 됩니다.
Q) 잎의 표면에 붉은 갈색 또는 갈색 느낌의 반점이 생겼어요.
A) 잎에서 일어나는 이런 현상은 잎에 있는 세포가 죽으며 생기는 현상입니다. 장기간 집을 비우거나, 물주기가 들쑥날쑥할 경우에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이 부족했을 때, 수분이 없어 수축하였던 세포들이 많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한 것이죠. 과도하게 팽창되면서 터져 상처나 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떡갈 고무나무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는 것은 물주기를 놓쳤던 적이 있는 것입니다. 식물의 속흙까지 완전하게 마른 후에 물을 주시면 늦습니다. 어느 정도의 겉흙이 마르면 물을 충분히 주시며 신경 써주세요.
'식물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적인 분갈이 방법 (흙 추천과 분갈이 시기) (0) | 2023.02.07 |
---|---|
식물이 돈이 될까? 식테크로 부업하는 방법 (3) | 2023.02.06 |
몬스테라 아단소니 키우기 쉬운 식물로 추천 (물주기, 월동, 온도, 학명) (0) | 2023.02.05 |
식물 구매 시 주의할 점과 식물 구매하는 방법 (0) | 2023.02.05 |
해가 없는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린이 추천 식물 Best 5 (0) | 2023.02.04 |
댓글